ICCP2 서양 목록과 편목규칙의 발달과정(5) 16) 미래의 목록을 대비하는 RDA AACR2를 개정하기 위해 처음에는 AACR3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지만 모든 유형의 자원과 모든 유형의 내용을 포괄하고 새롭게 출현하는 자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005년에 RDA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변경한 후 2010년 7월에 발간하였습니다. AACR을 전면적으로 개정한 규칙인 RDA는 전통적인 도서관 목록 뿐만 아니라 웹 기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든 매체에 대한 서지기술과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한 다국적 내용의 표준을 지향합니다. 이를 위해 RDA는 개체와 속성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를 묘사하여 이용자의 과업, 즉 이용자의 정보탐색과정을 지원하는 FRBR 모델을 수용하였습니다. RDA는 이용자 과업의 내용을 발견-식별-선정-입수로 정의합니다. .. 2022. 12. 11. 서양 목록과 편목규칙의 발달과정(4) 13) 온라인목록의 등장과 카드형 목록의 퇴장 MARC은 목록의 배포 및 공유를 위해 개발한 것이지만 애초부터 이용자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은 아니었습니다. 컴퓨터로 입력한 데이터를 목록카드로 대량 인쇄하는 용도로 MARC을 개발했다고 봐도 틀림이 없습니다. 그러나 많은 도서관에서 MARC 포맷으로 목록 데이터를 관리하였고 이 목록 데이터를 기저로 각종 도서관 업무를 자동화하였습니다. 기본적으로 도서관 자동화는 목록을 생산하는 정리 시스템과 더불어 MARC 포맷의 목록데이터와 이용자의 데이터를 연동한 대출시스템부터 개발했습니다. 여기에 컴퓨터로 목록을 검색할 수 있는 온라인목록(OPAC)을 추가하여 기초적인 통합도서관시스템(ILS)이 됩니다. 정리시스템에 실시간으로 목록이 저장됨에 따라 최신자료를 훨.. 2022. 12.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