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저자목록2

편목규칙과 ISBD 특정자료가 지닌 서지정보를 일정한 형식으로 기록하는 것을 저록이라하고 저록을 모아 일정한 순서로 배열 및 편성한 것을 목록이라 합니다. 책을 한 권 읽고 감상문을 일정한 형식으로 기록한 독서카드를 저록으로 비유한다면 여러 장의 독서카드를 일정한 순서로 묶을 경우 목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책의 제목(표제) 순으로 묶는다면 표제목록, 지은이의 자음순으로 묶는다면 저자목록이 됩니다. 저록을 작성할 때에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야 합니다. 가령 학생들에게 독서카드 양식을 제시하지 않고 임의로 써내라고 한다면 어떤 학생은 제목, 지은이, 출판사, 읽은 날짜 등등 이런 순서로 서술할 것이고 또 다른 학생은 읽은 날짜, 지은이, 제목 등등 이런 순서로 쓸 수 있을 겁니다. 아마도 학생들마다 서로 다른 형식으로 독.. 2022. 12. 7.
도서관에서 목록을 만드는 이유 도서관에서 주제의 순으로 실제 공간에 자료를 배열하는 활동을 분류라 하고 주제 이외의 표제나 저자명 등의 순으로 가상공간에 자료를 배열하는 활동을 편목이라 합니다. 편목의 결과물로서 목록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목록이란 무엇일까요? 목록은 사전적 의미로 어떤 물품의 이름이나 책 제목 따위를 일정한 순서로 적은 것을 말합니다. 우리에겐 도서목록과 같은 용어가 익숙하지만 노래방목록, 상품 카탈로그, 게시판 목록처럼 그 대상이 반드시 책이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목록은 해당 상품이나 물건의 속성, 형태, 용도, 가격 등을 상세히 표시함으로써 그것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원본을 대신하여 선택을 도와주는 기능을 합니다. 도서관이 입수한 방대한 자료들은 분류표상의 주제의 순으로 서가에 배열합니다. 이 방.. 2022. 12. 7.